"감정 기복이 심한 편인데 우울증인가요? 조울증인가요?"​ 양극성장애

2022. 8. 22. 13:54카테고리 없음

728x90

"감정 기복이 심한 편인데 우울증인가요? 조울증인가요?"


#양극성장애 1형

진료실에서 흔히 이러한 질문을 받기도 하며 일상에서 서로 이러한 이야기들을 나누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우울증이라는 진단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반면,

조울병, 양극성장애라는 진단은 한번쯤 들어본 적은 있으나 정확히 어떤 질병인지 혹은 우울증과 어떻게 다른지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우울증 과 같은 질병으로 인식되기도 하는데 이는 #조울병 의 특성상 조울병으로 진단받기 전 우울증이 선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정의

우선 조울병은 우울증과 함께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기분장애에 속하는 질환이며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에서는 양극성장애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양극성장애로 용어를 통일하여 사용하려고 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비정상적인 기분이 지속되는 양상을 ‘삽화’라고 합니다.

조울병은 1번 이상의 #경조증삽화 또는 #조증삽화 를 경험하는 경우 양극성장애로 진단하며, 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1형 양극성장애, 경조증삽화를 경험한 경우 2형 양극성장애로 구분합니다.

이 장에서는 1형 양극성장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형 양극성장애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번 이상의 조증삽화를 경험할 때 진단할 수 있습니다.

1형 양극성장애는 먼저 우울삽화를 1번 이상 경험하고 수개월에서 수년이 경과한 후 조증삽화를 경험한 뒤 양극성장애로 진단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기 첫 우울증을 경험한 환자의 20-32%, 초기 성인기에 첫 우울증을 경험한 환자의 5-15%가 추후 양극성장애로 진단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사람에 따라 조증삽화만을 경험하는 경우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조증삽화를 경험하는 경우 스스로 고양된 기분을 알아채기 힘들며, 먼저 가족들이나 주변 사람들이 이전과 비교하여 달라진 환자의 모습에 대해 걱정하고 염려하게 됩니다.

전형적인 조증삽화의 경우 초기에 행복감, 자신감에 심취하게 되며 이후 과민한 양상으로 변하게 됩니다.

환자는 머릿속에서 생각들이 쉴 새 없이 떠오르고 모든 일들이 다 잘 될 것이라는 생각에 빠져 무리한 계획들을 세우고 이를 진행하기 위해 주변 사람들과 심각한 갈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간혹 주변의 만류에 환자 스스로 자신을 통제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어 결국에는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출처: 국가정신건강정보포털